(에제(@awder_HJ)의 닫힌종족 설정 백업문입니다.)

(이미지의 무단 저장, 카피캣을 금지합니다.)

 

 

그 기원이 우주 어딘가의 외계행성으로 추정되는 생물입니다.

중력을 무시하고 허공을 유영하며 살아가는 종이 있는가 하면, 지구의 바다에 적응해 정착한 분화종 또한 존재합니다.

 

 

+ 몸 구조

- 한 쌍(드물게 두 쌍)의 촉수

- 토끼의 귀를 연상케 하는 기관

- 연체동물과 같이 물렁물렁한 몸

- 눈가로 추정되는 부위를 무언가로 덮음

- 날개같은 앞다리와 두 쌍(드물게 세 쌍)의 뒷다리

- 식성은 개체에 따라 천차만별. 잡식의 비율이 높다.

( - 뺨의 수염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함 )

원종은 손처럼 사용하는 부유물이 적게는 둘, 많게는 넷이 존재하나 바다종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등

분화하면서 자잘한 특징이 변화하기도 하며

촉수의 끝이 곤봉 모양을 벗어나거나 추가적인 기관(ex. 털, 지느러미 등)을 가진 희귀한 개체도 관찰이 되곤 합니다.

 

 

+ 몸 길이

 

평균 사이즈는 인간의 손바닥에 쏙 들어오는 크기지만

우주를 유영하는 존재인만큼 매우 거대한 개체도 있으리라 추측하고 있습니다.

덧붙여, 촉수는 의사에 따라 자유자재로 늘어나 정확한 길이를 잴 수 없었으며

매우 질기고 유연한 특징과 더불어 이들이 바닥에서 곧장 떠오를 수 없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중력이 존재하는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기관이 아닌가 연구중에 있습니다.

 

+ 수염?

개체마다 수염의 유무나 형태가 다르지만 수염이 있는 개체와 없는 개체가 1:1의 비율로 관찰됩니다.

이 기관의 역할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, 임시로나마 '수염'이라 부르고 있습니다.

 

 

+ 생태

1호: 중국식 매듭|2호: 솜사탕|3호: 파도|4호: 바다 노을

이들은 주변 사물을 본따 성장하는 경향이 있으며, 인공물과 자연물

혹은 타 생물까지 가리는 것이 없습니다.

연구원들은 이를 보호색의 일종이라 여겼으나 자세히 파고들면 그 기원은 조금 다른 듯 합니다.

 

인공물의 구조까지 완벽히 이해하고 자신의 몸에 적용하는 만큼

지능은 인류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으로 예상되며

그들만의 언어체계가 존재하는 듯 하나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물리적인 수단은 보이지 않습니다.

다만, 드물지 않게 지구의 생물과 함께 지내며 성대를 모방한 기관을 만들어

'울음소리'를 흉내내는 모습이 포착되고는 합니다.

어쩌면 인간의 언어를 익힌 개체가 나타나는 날도 오지 않을까요?

 

 


[개체 이미지 목록]

[개체-보호자 리스트] (두 번째 탭)

(에제(@awder_HJ)의 닫힌종족 '파라'의 설정 백업문입니다.)

(이미지의 무단 저장, 카피캣을 금지합니다.)

 

 

- Para

패러글라이딩(paragliding)에서 따온 이름으로,

첫 발견 개체가 패러글라이더를 연상시키는 외형을 하고 있었기 때문.

뒤이어 행글라이더과 유사한 개체도 발견되었다.

 

- 외형

패러글라이딩을 연상시키는 동시에 나방의 형태와 유사한 α형과

행글라이딩을 연상시키는 동시에 나비의 형태와 유사한 β형이 확인되었으며

각각 다람쥐와 토끼의 몸에 정착했다.

이들의 두드러지는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데

 

* 눈가에 고글과 비슷한 막이 생성되며 목 주변에도 풍성한 털이 자라난다.

* 더듬이처럼 보이는 것은 촉수이며, 턱에서부터 뻗어나온다. 수납이 가능하다.

* 이전 생물이 무엇이었든 비행 능력을 가지게 된다. 이 때 생성되는 막은 원형의 날개와 유사하다.

* 정착은 공생의 형태를 띤다. 오히려 능력만을 주고 '파라'는 소멸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.

 주로 정착하는 것은 육상생물.

 

 

아래는 드물거나 개체차가 있는 특징이다.

 

* 정착한 생물의 털 색을 크게 바꾸고는 하나, 드물게 본래의 털 색을 따르는 개체도 존재한다.

* 식성은 정착한 생물의 것을 따르나, 드물게 육식에서 초식으로 그 반대로 변화하는 개체도 있다.

* 희귀하게는 파라 본래의 식성인 잡식성을 띄는 경우도 있다.

* 정착생물 없이, 단일 개체로 살아가기도 하며 이 또한 자연계에서는 드물다.

* 날개막의 세로선은 형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. 개체별로 있기도 하고 없는 경우도 있다.

 

몸 길이는 정착한 생물에 따라 천차만별로, 대략적인 크기 차이는 아래와 같다.

 

- 생태

무늬가 없는 '백색 파라'가 관찰되었다.

기본형(20cm내외)의 채 절반도 되지 않는 날개의 길이와 여물지 않은 상태, 짧은 다리 등으로 미루어

파라의 유충이 아닌가 짐작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알의 발견이나 교배 성공 사례가 없어 정확한 정보는 알 수 없다.

지금까지 확인 된 특징으로는

 

* 흰 날개에 검은 몸체. 드물게 완전히 투명한 날개도 발견된다.

* α형은 가느다란 다리를, β형은 굵은 다리를 가지고 있다. 길이는 양쪽 다 매우 짧다.

*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아 날개의 무늬가 결정된다.

 

현재 인공적으로 '그린' 그림에 여러차례 노출시켜 파라의 무늬를 조절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험을 진행중이다.

 

 

 

- 실험

육상생물에 정착하는 '파라'가 해양생물에 정착한다면 어떤 결과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실험으로

단일 개체로 발견한 3호를 해파리에 정착시키자 아래와 같은 외형으로 변화했다.

* 눈과 유사한 기관이 생겼으나 시력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.

* 육상 생물과 같이 '풍성한 털'과 '고글'이 생겼으나 날개막 대신 날개막의 무늬가 갓에 나타났다.

* 본래 촉수를 가진 생물이었던 탓인지 촉수에는 두드러진 특징이 발견되지 않았다.

 

이어서 돌고래에게 4호를 정착시키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나

어류가 아닌 포유류이기에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결과는 좋지 못했다.

 

* 날개막은 문제 없이 생성되었다. 동시에 꼬리 지느러미가 반투명한 모습으로 변화했다.

* 몸체의 색 또한 별다른 문제 없이 변화했다.

* 촉수의 시작부는 턱이 맞으나 살 아래로 파묻혀 꼬리 주변에서 돌출되었다.

* 고글 생성중에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하였다.

 

결함 발생을 확인한 즉시 실험을 중단하고 돌고래의 치료를 진행하였으며

그 덕분에 돌고래의 목숨은 부지했으나 시력이 상실되었다.

이후 4호는 X호로 변경, 연구진들은 다시는 해양생물과의 인공적인 결합은 시도하지 않는 것으로 의견을 굳혔다.

 

 

 

- 이후 내용은 생각나는대로 추가합니다.

+ Recent posts